◾ 요가의 역사
기원전 3000년경 인더스 문명 청동기시대 요가 자세를 취한 siva 상의 좌법 유물 발견을 통해 요가의 역사를 추측할 수 있게 되었다.
싯다르타는 죽을 만큼 고행 정진에 전념했지만
결국 원하던 해탈을 얻지 못한다. ‘무색 계 선정’에 머무는 한, 생로병사라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며 고행을 멈추고 ‘알라라 깔라마’와 ‘욷다까 라마뿟따’ 두 스승 곁을 떠난다.
“고행 또한 집착이구나”라는 것을 깨달음을 통해 육신의 중요성을 알게 되면서 명상의 길로 전환되었다.
*고행: 욕망. 수면, 음식을 제한한 수행
◾ 요가의 어원
산스크리트어 “yuj”(유즈)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Yuj : 얽어매다, 결합하다, 붙이다, 멍에 씌우듯 이어 붙이다.(소에 쟁기를 씌우는 것임/말을 마차에 연결할 때 말에 멍에를 씌운다고 함)
◾ 요가의 의미 (Union of body / mind and soul)
• 결합, 합일
• 몸+마음
• 우주+소우주
• 집중(드리시티)
몸과 마음으로 구성된 현상적인 자기(아트만)에서 벗어나서 초월적 참나(브라만)와 결합을 의미한다.
분리된 육체적 영역과 정신적 영역 사이를 이어준다.
◾ 요가의 종류
구분 | 내용 | |
요가수트라 | 라자요가(Raja yoga) | 명상요가 문자대로 보면 ‘왕의 요가’라는 의미. 일상생활을 하는 중에는 숨겨져 있고 마음의 활동 때문에 가려져 있는 우리 안의 왕을 드러내고자 한다. 요가 철학의 심오한 명상의 내적 요가 |
하타요가(Hatha yoga) | 하타: 양과 음의 결합으로 완전 체의 모습을 갖는다. (하: 태양, 타:달 ) 육체의 잠재적 능력(쁘라나야마, 쿤달리니, 무드라 등등)을 수련함으로 성취되는 몸으로 하는 모든 수련 |
|
바가바드기타 *참고 도서 -하타요가 프라디피카 -우파니샤드 |
갸나 요가(Jnana yoga) 지혜의 요가 (갸나:앎) |
우주 속에 궁극적 실재인 브라흐만과 자신 속에 내재되어 있는 아뜨만(Atman)이 동일하다는 것을 아는 지혜이다. |
박띠요가(Bhakti yoga) 사랑의 요가/헌신의 요가 |
신(우주)에게 자신의 에고를 내려놓고 가슴의 사랑을 나누는 것 | |
까르마 요가(Karma yoga) | 행위의 요가 :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행위를 하는 것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
◾ 요가의 철학체계
: 힌두의 가장 오래되고 신성한 문헌인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지, 거부하는지에 따라 정통인 유파와 비정통인 무파로 나뉜다.
요가의 철학체계는 크게 무파와 유파로 나뉘는데,
유파에는 [상키야,요가, 나야야, 바이세시카, 미밈사 학파, 베단타] 로 나뉘고
무파에는 [불교, 인도유물론, 자이나] 가 있다.
유파 “무언가 있다” |
상키야(samkhya) | •삼키아 학파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가장 오랜 학파이다. •문자 그대로의 뜻은 "숫자(Number)"로, 이 때문에 삼키아 학파는 수론파(數論派)로 한역되었다. 이때의 수(數)는 숫자 자체가 아니라 "수열 또는 나열(enumeration)"을 의미 •즉 삼키아 학파(수론파)라는 명칭은 우주의 전개 원리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삼키아 철학의 목적은 고(비참)의 원인을 영원히 제거할 지식을 제공하여서 영혼이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것(“모크샤 · 해탈")이다 |
요가(Yoga) | •요가 수행에 의해 모크샤(해탈)에 도달하는 것을 가르치는 학파 •요가 학파의 철학에는 불교의 영향이 있다는 것도 인정되지만, 요가 학파의 철학은 삼키하 학파의 철학과 거의 동일하다. •철학 면에서 삼키아 학파와의 상이점으로는, 요가 학파에서는 절대자로서의 최고신 인정한다는 것만이 거의 유일한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요가 학파에서는 일상생활의 상대적인 동요를 초월한 곳에 절대 고요(絶對靜)의 신비적인 경지인 사마디(삼매)의 상태가 있으며, 이 사마디의 경지에 도달할 때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생각하였다. 요가 학파에서는 이와 같은 수행을 요가라고 부르고, 그 수행을 행하는 사람을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라고 이르며 그 완성자를 무니(牟尼 · 聖者)라고 일컫는다. 이와 같은 사마디라는 신비적 경지는 다른 여러 힌두학파의 해탈의 경지와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힌두학파들이 모두 요가의 수행을 실천법으로써 사용하고 있다. |
|
니야야(Nyāya) | •정리론(正理論) 또는 정리학파(正理學派)라고도 한다. •"니야야"란 법칙 · 규범 등을 뜻한다.《베다》 연구를 할 때의 여러 가지 변론이나 사고(思考)에 있어서 논증 상의 법칙이나 규약이 설정되고 이러한 것에 관한 연구와 교의가 이윽고 한 학파를 이루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성격상 "(윤회의) 원인을 밝히는 논리"라는 의미에서 인명(因明) 혹은 이론(因論)이라고도 부르지만 논리학적 연구는 힌두교의 다른 학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른 철학학파와 마찬가지로 해탈을 인생의 궁극적 목표로 삼았으며 참된 지식의 참된 지식(眞知)의 대상인 16제(十六諦)를 올바르게 알게 됨으로써 달성되고, 또한 고(苦) · 생(生) · 동작 · 과실 · 사지(邪知)를 마지막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없애 나가면 연쇄적으로 앞의 것이 소멸되어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도 주장 |
유파 “무언가 있다” |
바이세시카(Vaiśeṣika) |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학파의 명칭인 바이셰시카는 특수 또는 구별을 뜻하는 비셰사(viśeṣa)라는 낱말에서 유래 •실체(substance). ·성질(quality). · 운동(particularity) · 보편(generality) · 특수(particularity) ·결합(inherence)의 여섯 가지의 원리 또는 범주[六句義]를 세워서 현상계 즉 우주의 여러 사물의 구성을 밝힌다. |
미맘사 학파(Mimāṃsā) | •제사(祭事 ·카르마)를 중시한다고 하여 카르마 미맘사 학파 또는 제사 미맘사 학파라고도 불린다. •미맘사 학파는 쟈이미니(기원전 200~100?)에 의하여 성립되었다. 이 계통의 학설을 기록한 짧은 문구가 암송에 의하여 전해져, 기원전 100년경 하나의 조직으로 종합 편찬되어 근본 경전인 《미맘마 수트라》가 성립되었다. •이 학파의 목적은 다르마(法)의 고찰 연구인데, 여기서 말하는 다르마는 《베다》에 규정되어 있는 야즈나의 실행이며, 야즈나를 통해 획득된 힘을 통해 종교상의 이상을 실현하게 된다고 해석한다. |
|
베단타(Vedānta) | •베다의 지식부(知識部)의 근본적인 뜻, 즉 아란야카와 우파니샤드의 철학적 · 신비적 · 밀교적 가르침을 연구 •힌두 철학에서 원래 베단타(Vedānta)라는 단어는 베다 중 우파니샤드와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베단타라는 단어는 "베다-안타(Veda-anta)" 즉 "베다의 끝" 또는 "베다 찬가에 더해진 부록"의 뜻인데, 이 뜻이 심화되어 "베다의 목적, 목표 또는 최종 도달지"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베단타는 또한 삼히타, 즉 네 종의 베다를 모두 마스터한 사람을 가리키는 일반 명사로도 사용된다. 8세기에 이르러서는 "베단타"라는 단어는 아트마 즈냐나(자아실현) , 즉 우주의 궁극적 실재(브라만)를 아는 것을 중심 주제로 하는 특정 힌두 철학 그룹을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었다. |
무파 “원인으로 인한 결과 실체는 없다” |
불교(Buddhism) |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따르고, 불경을 경전으로 삼는 종교이다. •불교는 이러한 삶의 괴로움에 대한 해결책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
인도 유물론(짜르와까Caravaka) | •갖가지 비베타적 철학파 가운데에서도 유물론은 아주 오랜 것이다. •‘carvaka’라는 말이 어원적으로 ‘먹는다’를 뜻하는 carv에서 파생됨 •Carvakd는 ‘먹고 마시고 즐기자’는 쾌락주의적 윤리관을 편 데서 기인함. •‘앎의 근거는 무엇인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
|
자이나(Jainism) | •자이니즘.불교와 비슷한 시기에 인도에서 일어난 종교. •'자이나'란 승리자라는 의미이며 영혼의 실재를 인정하고 그것의 해탈을 목표로 하는 종교 •고대 인도에서 제사 중심의 베다 브라마니즘에 대한 반동이자 개혁으로 발생하여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는 인도 계통의 종교 및 철학이다. •자이나교는 영혼의 해탈을 목표로 한다. 해탈은 윤회의 사슬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
◾ 뿌루샤와 쁘라끄리띠
이원론을 바탕으로 한다.
이 세계는 순수자아인 뿌루샤와 순수물질인 쁘라끄리티에 의해 전개된다.
뿌루샤(푸루샤) | 쁘라끄리띠(프라크리티) | ||
순수자아, 참 자아 | 순수물질, 마음 | ||
의식의 속성을 지닌 실체가 아니라 순수의식 그 자체 | 세계의 모든 대상의 근원적이고 최초의 원인이며 영구적이고 절대적이다. | ||
자아는 현실에 머물지 않고 과거와 미래에 얽매인다. |
이 세상 속성을 말하며 아래의 3가지의 속성을 갖는다. | ||
싸트바 | 라자스 | 따마스 |
◾ 쓰리구나
라자스(rajas)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느냐에 따라 다른 상태를 낳는다.
*이들 세 구나는 상호 협동과 갈등의 관계에 있으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상호의존적인 관계다.
'별볼일 있는 기록함 > 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계(1) (0) | 2023.04.11 |
---|---|
인체의 골격계 – (1) 뼈의 기능 (0) | 2023.04.10 |
요가 해부학 (1) | 2023.04.06 |
요가의생리학 &기본호흡 (0) | 2023.04.05 |
요가강사가 되다. (0) | 2023.04.03 |
댓글